본문 바로가기
  • 나만 몰랐던 취업비법, 20년경력 커리어코치의 취업노하우

아보카도심리학45

긍정마인드로 자기혁신 하는 법(자존감 높이는 방법6부)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등감의 뿌리를 찾아 제거하거나 극복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자기혁신을 해나가려는 자세가 중요한데요. 열등감의 잡초를 제거한 자리에 긍정마인의 씨앗을 뿌려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오늘은 우리 내면의 잘못된 부정적 마인드를 긍정마인드로 인식의 틀을 바꿔서 자기혁신을 해나갈 수 잇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보고자 합니다. 끝까지 집중해서 시청해보시고 가까운 분들에게도 공유해보시길 권합니다. 앞선 시리즈 영상을 보신 분들은 인사말 생략하시고, 1분 7초부터 보셔도 괜찮습니다.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어려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으실 터인데요. 마음이 어지럽고 혼란스러울수록 가장 중요한 것은 자존감을 스스로 지키고 높여나가는 것이 .. 2022. 11. 16.
자존감 높이는 법 1편)동기부여가 되는 자존감, 자신감 뜻?! 혼란스러운 시대에서 마음에 어지러움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으실 터인데요. 자존감이 내려가는 일들이 많지만 그래도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존감을 스스로 지키고 높여나가는 것이 아닐까 싶어 영상을 시리즈로 제작해 봤습니다. 오늘은 커리어코치가 아니라 멘탈코치로서 여러분의 마음의 성장을 이끌어 보려합니다. 끝까지 집중해서 시청해보시고 가까운 분들에게도 공유해보시길 권합니다. 함께 보시죠.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tHGF0E-PWbA 내용: 성공하는 사회생활을 위한 자존감 향상법 여러분은 자존감이 높으신가요? 아니면 낮으신가요? 저는…자존감 높아 보이나요? 아니면 낮아 보이나요? 자존감을 표정으로 알 수 있나요? 자존감을 100점 만점으로 한다면 여러분은 자신에게 몇 점을 주고 싶으신.. 2022. 11. 4.
정서를 헤아리지 못하면 변화를 이끌어낼 수 없다(정서코칭 3부) 상담을 하시는 분들일수록 내담자가 부딪힌 현실적인 문제를 풀어드리고자 하는 마음이 있을 겁니다. 그런데 그러다보니 정작 내담자의 내면의 마음과 정서를 헤아리지 못하고 드러난 문제에 집중하다 본질적인 부분을 놓칠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윤영돈 박사가 전하는 숨은 이면을 헤아릴 수 ldTsms 정서코칭의 5단계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oBt-SJvbl6M 내용: 정서코칭의 5단계 방법 공감과 동감의 차이 자신의 정서 표현하기 가르치는 것만으로 변화되기 어려운 이유 라포를 형성하는 기술 정서가 뿌리 깊은 이유 이성의 뇌와 감정의 뇌... *상기 내용은 ‘본하트 정서카드’를 개발한 윤영돈 코치님이 온라인으로 강의해주신 내용입니다. 내용공개를 허락해주셔서 공개하는 .. 2022. 9. 21.
정서코칭2부, 내가 느끼는 나의 핵심정서는 무엇인가?! 나이가 들어서도 자신의 감정을 잘 헤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꽤 많습니다. 감정이 무딘 사람은 모든 감정을 단지 좋은 것과 나쁜 것만으로 단순하게 구분지어 버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일과 삶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감정의 이해 뿐 아니라 내 마음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정서를 들여다봐야 근본적으로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GNadF9fd9RE 내용: 기쁨과 즐거움의 차이가 뭔가요? 감정을 단순화하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자신의 감정을 분화하기 부정적인 감정을 받아들이는 법 긍정적인 감정을 헤아리는 법 행동만으로는 삶이 변하지 않는다 감정과 정서의 차이 감정이 나뭇가지라면 정서가 뿌리인 이유 나의 핵.. 2022. 9. 19.
이 시대 청춘이《아보카도 심리학》 저자에게 묻다(북토크쇼 풀버전 영상) 젊은이들의 멘토로 맹렬히 활동하고 있는 윤성화 소장님 초대로 북세미나를 일전에 진행했는데요. 누구보다 열심히 배우고 삶의 의미를 찾아가려는 청년들이라 집중해서 경청할 뿐만 아니라 질문들도 쏟아졌는데요. 이들의 질문만으로 북토크쇼 형식으로 진행했답니다. 이야기 나눴던 질문과 대답이 이 시대 청춘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아 북토크쇼 내용을 풀버전으로 공개합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t0PqkKKTo5A 전체내용 요약: 1.꼭 다양한 사람들 만나야 하나요? 2.악의평범성)평범하게 생긴 사람이 왜 악행을?! 3.저항할지 복종할지 그 기준은?! 4.누군가 이유없이 밉다면 살펴야 할 그림자 5.마음의 중심을 단단히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6.사람을 판단하는 당신의 프레임은 무엇인가.. 2022. 8. 16.
나를 찾기가 왜 이렇게 힘들까요?(나 자신을 찾기 위한 자기탐색법)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인류의 많은 사상가들이 끊임없이 던진 질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상당히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지요. 심지어 왜곡되어 있는 경우도 많아서요. 잘못된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자신을 찾아가는 자기탐색의 과정은 결코 쉽지 않은데요. 그런 고민을 하는 청춘이 던진 질문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대답을 해주고 싶으세요?! Q. 제가 어렸을 때는 심리학이라는 키워드가 크게 다가오지 않았는데요. 크고 나서는 유행처럼 다가왔단 말이에요. 사실 지금도 자아성찰의 기간이거든요. 제가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도 찾아보면서 저를 돌아보는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공부하면 할수록 더 모르겠는 거예요. 제가 엄청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도.. 2022. 8. 12.
인정욕구로 무너지는 한국인들의 자존감, 독이 될까? 득이 될까? 사람이라면 누구나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있을 겁니다. 타고난 본능에 가까운 욕구이겠죠. 그러나 한국인들은 그 정도가 다소 지나친 면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어렸을 때는 부모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고, 학교다닐 때는 친구나 교사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고, 커서는 직장동료나 상사나 배우자나 자녀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죠. 경영자들은 직원들과 소비자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고, 정치인들은 국민들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고, 인기있는 연예인들조차 끊임없이 인정받고자 몸부림칩니다. 유명인에서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그렇게 끝없이 인정을 갈구하며 다른 사람에 맞춰 살아가다보니 때로 자존감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또 한편으로 보면 이런 인정욕구 때문에 학업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성취하는 경우도 있어서요. 차.. 2022. 8. 8.
사람을 평가하는 당신의 프레임은 무엇인가요?!(세상을 판단하는 기준) ‘프레임’은 원래 창틀이나 액자의 테두리를 지칭하는 단어였는데요. 최인철 교수님의 도서 ‘프레임’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심리학적 용어로 더 많이 자리매김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내 마음의 틀’로 사용되었는데요. 때로 ‘프레임’이 고정관념이나 잘못된 편견의 틀이 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에 리프레임해야 하기도 하는데요. 또 한편으로 자기만의 프레임이 없으면 올바른 판단을 빠르게 내리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자신이 기준으로 삶는 틀이 다 다르겠지만요. 여러분은 다른 사람을 바라볼 때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시나요?!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8MQMinb2w9o #프레임 #판단기준 #평가기준 #최인철교수 #도서프레임 #마음의틀 #대인관계 #판단기준 #세상.. 2022. 8. 3.
내 마음의 중심을 단단하게 잘 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흔들리는 세상 속에서 사람들은 끝도 없이 마음이 흔들리며 혼란과 어려움을 겪지 않나 싶습니다. 저 역시도 누구보다 곤란을 겪었던 사람인지라 더 제 좁은 마음을 헤아리려 애써왔는데요. 어떻게 하면 내 마음의 중심을 조금 더 단단하게 잘 잡아둘 수 있을까요? 여러분은 어떤 방법으로 마음의 중심을 잡으시나요?!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wXu71Jq_cPg 내용: 자만심이란 자신감이란 자존감이란 자존심이란 자만심이 많은 사람과 자존감이 높은 사람의 차이 자신감이 높은 사람과 자존감이 높은 사람의 차이 자존감이 낮으면 생기는 문제 비록 실력이 낮아도 커버가 가능한 방법 자존감의 끝은 어디일까? 선과 악은 99:1의 게임이다. 선이 99일까? 악이 99일까? 내 마음을 단단하게 만드는 주춧돌.. 2022. 8. 1.
만일 누군가 이유없이 밉다면 당신이 살펴봐야 할 그림자 사람들하고 이야기 나누다보면 도저히 상대가 이해되지 않는데 누군가는 나와 다르게 해석해서 당혹스러울 때가 있죠. 때로 말못해 숨겨져 있던 감정이 솟구칠 때도 있는데요. 그렇게 인간내면에 억압된 그림자가 억눌려 있다가 폭발해서 불통과 분란이 일어날 때도 많은데요. 그건 개인적으로나 역사적으로도 증빙된 사실이 아닐까 합니다. 자신의 억압된 그림자를 누군가를 향해 투사해 버리는 거죠. 융심리학의 용어를 통해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느낄 수 있는 현실적인 깨달음과 더불어 세상을 살아가는 통찰력을 배울 수 있는 수업현장 함께 보시죠. 인간내면의 억압된 그림자로 발생하는 불통과 분란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TYrqWpvqhUk 내용 같은 이야기를 듣고도 서로 다르게 받아들이는 이유 융심리학 투.. 2022. 7. 19.
권위에 저항할지 복종할지 어떤 기준으로 정해야 할까요?!(밀그램실험 이후) 북세미나 중에 청중이 던진 질문입니다. “우리가 너무나 당연시 여겨왔던 권위에도 때로 저항해야 한다는 말씀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권위에 복종할지 저항할지를 정하는 것이 좋을까요?”라고 질문 주셨답니다. 권위를 행사할 존재라면 가까이는 부모, 형제, 선배, 직장상사 등이 있을 터이고, 크게는 국가, 사회의 제도나 권력의 지도자 등이 될 수 있겠지요. 만일 여러분이라면 이들의 권위에 저항할지 복종할지를 어떤 기준으로 정하시나요?!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U0bwGEqC7V8 #악의평범성 #한나아렌트 #예루살렘의아이히만 #밀그램실험 #선과악 #권위와복종 #도덕성 #아보카도심리학 #저자와의만남 #책읽기 #좋은책 #심리학도서 #심리학추천도서 #심리학수업 #심리학.. 2022. 7. 11.
악의 평범성, 온순하고 착하게 생긴 사람이 어떻게 악행을 저지를 수 있죠?!(feat.밀그램실험) 우리가 뉴스를 보다보면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의 얼굴을 보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그들이 평범하게 생겼을 뿐 아니라 때로 온순하고 착하게까지 생긴 사람들이 있어 의외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중대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이야 당연히 벌을 받아 마땅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나치 대학살과 같은 인류의 대범죄 사건을 들여다보면 정말로 평범해 보이는 사람들이 전범 재판대에 오르는 경우를 볼 수 있었다고 독일의 한나 아렌트라는 철학자는 말합니다. 이를 두고 그녀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악의 평범성’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는데요. 밀그램실험 내용과 함께 어떻게 평범한 사람들이 중대한 범죄에 관여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하면 이런 중대한 범죄의 가능성으로부터 .. 2022.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