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 상담 Q&A888 부정적 생각으로 불안에 사로잡혔던 20대 내담자가 10년 만에 보내온 편지에 폭풍감동 단 한 번의 상담으로 바뀐 인생(부정적 생각이 들 때, 필독!) 단 한 번의 상담으로 인생이 바뀔 수 있을까요? 아마도 그러기는 힘들다 싶으실 건데요. 그렇지만 가끔은 그런 일이 있습니다. 10년 만에 내담자에게 받은 감사 답변에 상담사로서의 짜릿짜릿한 보람이 있어서요. 자랑하고 싶은 마음도 있지만 이번 상담 경험을 통해 인생교훈도 전해보고자 유튜브 영상으로도 올렸으니 끝까지 시청해보시길 권합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krbw_HxXtC0 여러분 상담 받아보셨나요? 젊은 날의 저는 늘 상담 받아야 할 처지에 있다가 상담 업무도 하게 되었는데요. 덕분에 상담관련 자격증도 없고, 상담 전공자도 아니지만 지금까지 1만여 건의 이상의 상담을 해올 수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누구보다 많.. 2023. 12. 7. 주목 받는 직무로 나아가는 것이 좋을까요?! 여러분은 어떤 직무가 각광받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각광받는 직무, 주목 받는 직무, 많이 채용하는 직무로 나아가는 것이 좋을까요? 어떤 직무를 선택하면 좋을까요?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sxlzGbwYszM Q. 앞으로 각광받을 직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앞으로 각광받는 직무라면 그것은 회사가 속한 업종에 따라서 다를 수 있긴 한데요. 포괄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아무래도 영업 마케팅이 가장 많이 뽑는 분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 분야가 우리 주변을 둘러봐도 아마 친인척의 영업 마케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이 손가락 안에 다 있을 정도로 많을 겁니다. 왜냐면 자본주의는 공급이 넘치기 때문에 이것을 어떻게든 간에 소화를 시켜야 되거든요. 그러니까 그쪽 분야에 있는 사람들이 가장 .. 2023. 12. 5.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을 선택하는 방법! 진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며 제가 인터뷰한 내용입니다. 많은 학생들, 심지어 다 큰 어른들도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서 갈등하는 고민인데요. 그 선택방법 공유해보니 여러분들의 지혜도 공유해주세요~~ Q.‘꿈’과 ‘진로’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이 두 단어는 개념적으로 어떻게 서로 다른가요?) 사실 꿈과 진로는 일정 부분에 같은 부분도 있고요. 전혀 다른 부분도 있습니다. 조금 더 구분을 하자라고 하면 아무래도 꿈은 조금 이상적인 이런 부분이 있고요. 진로라고 한다면 현실적인 부분이라고 이렇게 구분해 볼 수도 있겠습니다. 그래서 학생들이 늘 고민하는 것 중에 하나가 “꿈을 따라야 할까? 현실을 따라야 할까?” 이런 갈등들도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 그러면 여러분은 “어떻게 해야 될까요.. 2023. 10. 17. 스몰토크 잘하는 법(할 말 없을때 주제찾는방법) 스몰토크란 ‘서로 잘 모르는 사람들이 심각하지 않은 어떤 소소한 주제에 대해 나누는 대화’라고 볼 수 있는데요. 낯선 사람뿐만 아니라 가까운 사람들에게도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화법이죠. 스몰토크를 할 때 진지하게 하는 편이라, 상대방이 재미없게 느끼는 경우가 많아 고민하는 청년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스몰토크를 잘할 수 있을지, 여러분의 지혜와 노하우를 알려주세요~.~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_NXGt8LGYLE 스몰토크의 유용성 1)상대와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해 2)대화의 시작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3)대화 중 침묵이나 어색함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고 대화를 풀어나가는 스몰토크 잘 하는 법과 주제 찾는 법 궁금하신 분들을 끝까지 시청해보시길 권합니.. 2023. 4. 10. 인터넷 악플에 대처하는 법 여러분 악플에 시달려본 경험 있으셨나요?! 그때 여러분은 어떻게 대처하셨는지,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지 지혜 나눠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연기자로서의 길을 걷고 있는 한 학생이 있는데요. 모델 활동도 겸하다보니 블로그와 SNS를 운영하는데 악플이 따라다녀 댓글달기 기능을 원천봉쇄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맞는지 아닌지 어떻게 악플러들에게 대응해야 좋을지 고민을 토로해와서요. 제 나름대로의 답변을 드렸답니다. 여러분들도 함께 지혜를 나눠주시면 큰 힘 되겠습니다. 악플로 고민하는 분들에게 작은 정보와 위로가 될 터이오니 끝까지 시청하시길 권합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x-ak8LC50iQ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악플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연예인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광범위하게.. 2023. 3. 22. 직장인의 퇴사기준: 사표 써야 할 때와 멈춰야 할 때(꿈, 진로, 기업운영도 마찬가지) 꿈이 있는 사람들도 앞으로 나아가다보면 자신이 생각했던 길을 계속 나아가야 할지 아니면 멈추고 다른 길로 접어들어야 할지 고민스러운 순간들이 많습니다. 학생 뿐 아니라 직장인이나 기업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직장인들은 지금 다니는 직장을 당장 떼려치워야 할지 말지 다들 한 번씩 고민합니다. 기업가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손실이 나기 시작하는 경영자라면 더더욱 그럴 터인데요. 이익이 나더라도 스트레스가 너무 많으면 잘 나가던 기업조차 닫아버리고 싶을 때가 있기 마련입니다. 이럴 때 여러분은 go를 계속 외쳐야 할지, 아니면 stop해야 할지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시나요?!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ISl5NU5mLHg 내용: Q.진로를 걸어나갈 때 진로의 방향을 바꿔야 할 때와 조금.. 2022. 8. 5. 은둔형 외톨이, 자발적 격리자가 되고 싶지 않다면...(길잃은 청춘들을 위한 커리어코치 정철상의 인생조언) 만일 최근에 친구를 만나는 것도 시큰둥하고 일하는 것도 시큰둥하고 공부하는 것도 시큰둥하고 사는 것도 시큰둥하다면... 이 영상 끝까지 보시길 권합니다. 20년 경력의 커리어코치 정철상이 동기부여 해드립니다. 제가 깨달은 ‘진로 찾는 방법’도 알려드릴게요. 분명 긍정기운이 일어날 거라 믿습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VP10FUCFu9Y 도전을 주저하고 무료한 삶에 안주하는 경향이 있는 청춘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 진로가 보이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왜 제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데 즐겁지 않은 걸까요? 근본적인 즐거움을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만일 삶이 무기력하게 느껴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실수했을 때 가장 중요한 태도는 무엇인가요? #무기력하게느껴진다면 #동.. 2022. 6. 3. 당신이 처음부터 눈높이를 낮춰서는 절대 안 되는 이유!? 많은 사람들이 꿈과 현실 속에서 갈등합니다. 꿈을 따라야 할지, 아니면 현실을 따라야할지 고민을 하는데요. 상황에 따라서 다를 수 있겠지만 학생이나 청년이 시작부터 눈높이를 낮추는 것은 대단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한 청년이 토크쇼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주셔서요. 답변을 드렸답니다. 여러분들의 지혜도 나눠주세요~.~ Q. 이상과 현실의 괴리 사이에서 어떤 마음가짐을 지니고 임해야 할까요? 눈높이에 맞춰서 안정적으로 취업신청을 해야 되는지 아니면 조금 더 스펙을 쌓아서 되도록 높은 곳을 노려봐야하는지 무엇을 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힙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gZexCfnCoSI 무작정 눈높이를 처음부터 낮추는 것은 대단히 위험합니다 A. 일단 여러분들이 처음부터 눈높이를 낮춰서.. 2021. 11. 10. “내가 가는 이 길이 맞는지 아닌지” 고민하는 분들을 위한 20년 경력 커리어코치의 인생조언 살아가다보면 문득 자신이 가고 있는 길이 맞는지, 제대로 가고 있는지 이런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그럴 때 없으셨나요? 그럴 때 어떻게 해결해보셨는지 해법도 공유해주세요. 청년들은 꼭 직접 경험해보는 방법 밖에 없느냐고 묻는데요. 그들에게 큰 삶의 지혜 되겠습니다. 저는 왜 경험이 그토록 중요한지와 더불어 그 외의 방법도 말씀 올렸는데요. 특히 전문가와의 만남에 대해서 강조했는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거나 역량을 업그레이드하고 싶은 분들에게도 분명 작은 지혜가 되실 겁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ji54ta4qbRs 질문내용: Q. “지금 제가 가고 있는 이 길이 맞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높다기엔 낮고, 낮다기엔 높은 그런 심리상황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2021. 10. 20. 전공 아닌 분야로 가려니 두려운데요. 커리어 어떻게 쌓아야 하나요? : 꿈을 어떻게 세부적으로 정해야 할지, 커리어를 어떻게 쌓아야 될지 고민입니다. 꿈이 있어도 어떤 경력을 어떻게 쌓아야 좋을지 고민하는 청춘들이 많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전공을 살려서 취업하고 싶은 청년들도 있는데요. 문제는 자기보다 뛰어난 전공자들이 너무 많아 과연 전공을 살려야 할지 새로운 분야로 뛰어들어야 할지 고민하는 청춘들도 있습니다. 이런 청년들의 질문에 여러분들의 의견과 지혜도 나눠주세요. 제 답변은 유튜브와 블로그로도 공개합니다. 영상보다 텍스트 선호하시는 분들은 영상의 후반부를 봐주시거나 블로그로도 내용 보실 수 있습니다. Q1. 대학교신입생인데요. 꿈의 영역중에 세부적으로 어떻게 정해야할 지도 고민되고,,, 커리어를 어떻게 쌓아야 이후에 도움이 될까요?! Q2. 전공을 살리기엔 제 전.. 2021. 10. 11. 무슨 일을 하고 싶은지 모를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20년 경력 직업상담가의 조언) 많은 학생들이 ‘앞으로 뭘 먹고 살지’ 고민합니다. 하지만 정작 무슨 일을 하고 싶은지 자신조차 모를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뭘하고 싶은지 모를 때, 뭘 해야 하나요?’라는 고민을 토로하는데요. 다소 이율배반적으로까지 들리지만 많은 사람들이 하는 현실고민입니다. 여러분들은 이 질문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여러분들의 의견과 지혜도 나눠주세요. 제 답변은 유튜브와 블로그로도 공개합니다. 영상보다 텍스트 선호하시는 분들은 영상의 4분45초 이후를 봐주시거나 블로그로도 내용 보실 수 있습니다. 유트브로 보기: https://youtu.be/6BXyhIBT4Gk 블로그로 보기: https://careerlab.tistory.com/3410 Q1. 꿈과 관련된 스펙을 쌓으라고 하시는데 아직 명확한 꿈이 없습니다... 2021. 10. 6. Q.공기업 취업전형보다 왜 사기업 취업전형이 더 어렵죠?(feat.20년 경력 커리어코치의 답변) 양질의 일자리 자체가 많이 줄어 들다보니 많은 청년들이 공기업으로 몰립니다. 공기업에서는 그나마 서류통과도 되고, 시험 볼 기회라도 공평하게 주어지니까 좋아합니다. 게다가 NCS전형이라는 전형절차가 있다 보니 내 노력만 더 하면 학벌을 극복하고 취업하기 용이한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공기업에 최종합격하기는 만만치 않습니다. 채용하는 자리수 자체가 너무도 적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기업으로도 취업준비 할까 고민하는 청년이 질문을 아래와 같이 보내왔는데요. 질문과 답변 내용은 유튜브로 공유합니다. 영상 말미에 답변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텍스트로 보충해 놓았답니다. 텍스트를 선호하시는 분들은 블로그나 브런치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Q. 공기업과 사기업을 동시에 준비하고 있는 3학년 학생입니다. 공기업에 대한 .. 2021. 10. 1. 이전 1 2 3 4 ··· 74 다음